국내선물이란?
당사 국내선물 거래 상품
구분 | 상세 |
---|---|
주가지수선물 | 코스피200선물 정규+야간, 미니코스피200선물 정규+야간, 코스닥150선물 정규+야간, KRX300 선물 |
금리선물 | 3년 국채선물 정규+야간, 5년 국채선물, 10년 국채선물 정규+야간, 30년 국채선물 |
통화선물 | 미국달러선물 정규+야간, 유로선물, 엔선물, 위안선물 |
개별주식선물 | 삼성전자 외 263개 기업 (기준: 유통주식수 200만주 이상, 소액주주수가 2,000명 이상, 1년간 총 거래대금이 5,000억원 이상인 보통주식 중 시가총액과 재무상태를 감안하여 선정한 기업) |
정규+야간 표시가 되어있는 상품은 정규거래시간 뿐 아니라 KRX 자체 야간선물에서도 거래가 되는 상품입니다.
국내선물 거래유형
헤지거래· 금리 변동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현물 방향과 반대방향의 선물 포지션을 취함
· 선물포지션 청산에 따른 이익(손실)로 현물 포지션의 손실(이익)을 상쇄
· 선물 만기 이전엔 금리차를 반영한 Basis가 존재
· 현물과 선물간 가격변동의 크기를 최대한 일치시키기 위한 해지 계약 수 산정 중요

· 현물 포지션이 없는 상태에서 미래의 금리 방향을 예측. 이를 근거로 선물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매매차익 및 레버리지 효과를 추구
· 호가 스프레드 축소 등 선물시장 유동성 증대. 시장의 변동성 증가.
· 투기 거래자는 헤지 거래자가 전가하는 위험을 떠안음 (효율적 헤지 기회 제공)
1) 단순 투기 거래
가격 상승(하락) 예상 시 선물 매수(매도)
2) 스프레드 거래
서로 다른 두 종류의 선물에 반대되는 포지션 구축
ㆍ 월물간 스프레드
동일 상품 내 상이한 결제월물간 가격 차이의 변동에 베팅
ㆍ 상품간 스프레드
다른 상품 간 동일한 결제월물간 가격 차이의 변동에 베팅
· 현물가격과 선물가격 간 가격 불균형이 발생 하였을때, 싼 것을 매수, 비싼 것을 매도하는 전략

1) 차입 비용과 시장 충격 비용
2) 순간적인 포지션 진출입 요구